‘매도프 사기사건’ 세계를 등쳤다

한국 피해액 15일 현재 1,307억으로 집계

김상욱 대기자, sukim21@yahoo.com


미국 월가의 희대의 금융사기극이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어 놓고 있다.

미국 뉴욕의 트레이더인 버나드 매도프(Bernard Madoff, 70)의 다단계 사기사건(폰지 사기, Ponzi Scheme)으로 피해가 속출될 것으로 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매도프 사기극으로 피해액이 무려 500억 달러(70조원 상당)에 이르고 있다.

매도프 사기극은 한국은 물론 미국, 유럽을 강타하고 있다.

전 나스닥증권거래소 위원장인 버나드 매도프는 자기 이름을 딴 '버나드 매도프 LLC' 를 운용하면서 미국 내 유명 인사는 물론 부유층과 국제금융기관, 헤지펀드 등에 다단계 금융 사기극을 펼친 혐의로 체포됐다.

'폰지 사기' 사기란 고수익을 내세워 투자자들을 끌어들인 다음 나중에 투자하는 사람의 원금으로 앞사람의 수익을 지급하는 다단계 사기수법을 말한다.

국제금융시장은 매도프의 엄청난 규모의 사기극으로 미국의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에 따른 후유증이 가라앉기도 전에 이 같은 대형 사기극이 터져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유럽은행들은 지난 주말 배도프 금융 사기극으로 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스페인 최대 은행인 산탄데르(Santander)의 자회사도 30억 달러 이상의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고 에이에프피(AFP)통신이 전했다. 산탄데르은행 자회사 투자펀드사인 옵티말(Optimal)은 하위 펀드를 통해 약 31억 달러 규모의 피해에 노출됐으며 산탄데르가 조성한 1700만 유로의 펀드가 매도프에게 투자됐다.

스위스의 은행들도 약 50억 달러(약 37억 유로)의 피해가 예상된다. 자산관리 회사인 유비피(UBP)는 10억 달러를 스위스의 개인은행인 라이트무트는 3억 2천7백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외신은 전하고 있으며 이외의 스위스 은행들도 다수가 투자금액을 물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프랑스 최대은행인 비앤피(BNP)파리바는 이례적인 성명을 발표, 미국 피라미드형 다단계 금융사기극과 관련 4억7천만 달러(3억5천망 유로)를 잃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비앤피파리바는 매도프 사기극에 직접 투자는 없으나 중개거래로 매도프 펀드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영국의 홍콩상하이은행(HSBC)도 매도프의 투자 펀드에 투자했다가 총15억 달러의 피해가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HSBC가 직접 투자한 10억 달러와 만일 매도프 펀드에 투자한 고객들의 투자금 5억 달러를 합쳐 총 15억 달러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보도했다.

이외에도 영국의 브랜딘 얼터너티브는 3천1백 2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고, 스위스의 유니온 반케어 프리비도 피해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피해 여부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하고 있지 않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일본의 노무라 증권도 3억6백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한국의 기관투자가들 역시 상당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15일 현재까지 알려진 피해액은 1,307억 원(9천510만 달러: 환율 1,375원/달러 기준)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은 15일 버나드 매도프 펀드 관련 직접 투자금융기관은 대한생명으로 투자액은 5천만 달러이며 이 중 2천만 달러는 지난달 30일자로 환매 신청했지만 현재까지 미상환상태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6개의 자산회사를 통한 간접투자액은 4천510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연기금 2개 기관과 보험 등 금융회사 4개사도 직접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용사별 매도프 펀드 투자액은 한국 2,190만 $, 삼성 630만$, 한화 600만$, 하나UBS 680만$, 산은 200만$, 알리안츠 210만$로 조사됐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페어필드센트리 및 프리미오셀렉트 등 헤지펀드에 투자한 펀드는 모두 사모펀드이며, 투자자는 전부 기관투자자들이어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인터넷신문의 선두주자 뉴스타운 Newstown / 메디팜뉴스 Medipharmnews)

[뉴스타운www.NewsTown.co.kr2008.12.15]

관련기사
- [국제/북한] 한-일, 한-중, 통화맞교환 각 300억$ 합의 (08/12/12)
- [국제/북한] 미네르바는 온라인 노스트라다무스? (08/12/12)
- [국제/북한] 그리스, 시위 파업 정권퇴진으로 번져 (08/12/11)
- [국제/북한] 美 자동차 빅 3, 긴급지원 숨통은 트여 (08/12/08)
- [국제/북한] OPEC, 유가하락 방지 위해 다시 뭉친다 (08/11/29)
- [국제/북한] 인도 뭄바이 테러 진압 거의 완료 (08/11/28)
- [국제/북한] 인도 뭄바이 테러 최소 101명 사망 (08/11/27)
- [국제/북한] APEC 정상회담, 위기완화 자유무역 지지 (08/11/23)
- [국제/북한] 바티칸, 비틀즈의 ‘존 레논’ 마침내 용서 (08/11/23)
- [국제/북한] 美, 내년도 성장 마이너스에 실업률 증가 (08/11/20)
- [정치] 대부업법 만든 김대중씨는 안녕하신가? (08/11/19)
- [국제/북한] G20 정상, 금융체제 개혁, 성장 등 합의 (08/11/16)
- [국제/북한] “이라크 종전” 뉴욕타임스 대량 배포 (08/11/14)
- [국제/북한] 이집트, 약 4300년 전 ‘피라미드’ 발굴 공개 (08/11/12)
- [국제/북한] 중국, 경기부양책 5,860억 달러 투입 (08/11/09)
- [국제/북한] 러시아 핵잠수함 사고로 20명 사망 (08/11/09)
- [국제/북한] 전 세계, 경기침체 종을 울리다 (08/10/24)
- [국제/북한] 아시아 증시 3일째 일제히 하락 (08/10/24)
- [국제/북한] 금융 위기, 후라이팬 위 빈국을 불속으로 (08/10/20)
- [국제/북한] 美 대선 후 금융위기 세계 정상회담 개최 (08/10/19)
- [국제/북한] 세계 각국, 금융위기 타개책 혼신의 노력 중 (08/10/17)
- [국제/북한] 크루그먼과 네오케인지언 부활 (08/10/15)
- [사회] 檢, 사채 청부폭력 '강력 단속한다' (08/10/14)
- [사회] 60%고리업자 알고보니 경찰관 (08/10/14)
- [국제/북한] 금융대학살 대응조치 더 기다려보자 (08/10/13)
- [국제/북한] 美, 구제금융에도 ‘신용경색’ 우려 증폭 (08/10/06)
- [식품/의약] 과식, 연쇄적인 뇌손상 가져올 수도 (08/10/05)
- [국제/북한] 美 구제금융 하원통과 불구 불안 지속 (08/10/04)
- [국제/북한] 미국인 80%, 금융위기 공포 느껴 (08/10/02)
- [국제/북한] 미 상원, 7천억$ 구제금융법 통과 (08/10/02)
- [국제/북한] 인도, 압사사고 최소 113명 사망 (08/09/30)
- [영동권(강원,경북,대구)] 경북, 대부업체로 인한 서민피해 사전차단에 주력 (08/09/30)
- [국제/북한] 美, 구제 금융에도 불안 여전 (08/09/23)
- [국제/북한] 부시, 금융위기 관련 ‘놀랄만한 조치’취할 것 (08/09/20)
- [경제/IT] 한국증시 내년 9월부터 FTSE 선진시장 편입 (08/09/19)
- [국제/북한] 아시아 증권시장 비틀 비틀 (08/09/18)
- [국제/북한] 美, AIG에 850억 달러 구제금융 단행 (08/09/17)
- [경제/IT] 미국 금융기관 파산의 경제적 의미와 영향 (08/09/17)
- [김상욱의 지구촌환경] 북극권 원유 900억 배럴 매장 추정 (08/07/24)
- [국제/북한] 아프리카의 심각한 ‘숨겨진 기근’ (08/07/23)
- [국제/북한] 중국 등 아시아 5개국 난민 탄압 최악 (08/06/20)
- [국제/북한] 세계경제 '3F'에 도전 받는다 (08/06/16)
- [국제/북한] 사우디, 석유 생산량 늘리기로 (08/06/16)
- [국제/북한] 세계적 패션 디자이너 이브 생 로랑 타계 (08/06/02)
- [국제/북한] 남아공, ‘외국인혐오증’ 폭력 50명 사망 (08/05/25)
- [김상욱의 지구촌환경] ‘고유가’ 변화 강요 받는 세계 환경 (08/05/25)
- [국제/북한] 공정무역 제품 쇼핑 혁명의 영국 (08/05/24)
- [국제/북한] 日자동차 업계, 배터리 공장 건립 붐 (08/05/23)
- [국제/북한] 아인슈타인 ‘무신론 편지’ 4억에 팔려 (08/05/18)
- [문화/연예] 카이사르 실제모습 흉상 발굴 (08/05/18)
- [국제/북한] 미얀마, 사이클론 사망자 12만8천 추정 (08/05/15)
- [국제/북한] 사우디 최초 여성전용호텔 논란 (08/05/15)
- [식품/의약] 세계 어린이 매년 1천만 명 목숨 잃어 (08/05/06)
- [국제/북한] 미얀마 사망자 2만2천명 웃돌아 (08/05/07)
- [교육/과학] 미얀마 '나그리스' 태풍, '1만3천 사망' (08/05/06)
- [국제/북한] 한중일, ‘아시아통화기금’ 설립 논의 (08/05/04)
- [국제/북한] 사이클론, 미얀마 강타 351명 이상 사망 (08/05/04)
- [국제/북한] '조용한 쓰나미’ 속 돈 할퀴는 다국적기업 (08/05/04)
- [국제/북한] 인도, TAP가스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참여 (08/04/26)
- [국제/북한] 미, 중-러 지재권 우선감시대상국 지정 (08/04/26)
- [국제/북한] 삼성 이건희 회장 퇴진 외신 큰 관심 (08/04/22)
- [국제/북한] 潘 총장 "세계 식량부족, 비상상황" 경고 (08/04/15)
- [국제/북한] 세계-식량위기로 ‘굶주림, 폭동 등에 휩싸여’ (08/04/13)
- [국제/북한] 세계경제, ‘인플레이션’ 위험에 직면 (08/04/13)
- [사회] 불법사금융 근절하여 법질서 확립하자 (08/04/06)
- [국제/북한] 부시, ‘지금이 경제위기 최정점의 시기’ (08/03/18)
- [국제/북한] 세계, ‘저성장-고물가’ 비상 (08/03/02)
- [국제/북한] 美, 세계 최대 감옥국가 되다 (08/03/01)
- [국제/북한] 코소보,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선언’ (08/02/17)
- [국제/북한] 한일 해저터널 일본 의원연맹 발족 (08/02/16)
- [미디어] NYT, 재정난으로 직원 100명 감축 (08/02/15)
- [국제/북한] 그린스펀, 미국경제 ‘침체직전’ 상황 (08/02/15)
- [국제/북한] 부시, 긴급경기부양법안 1천 680억 달러서명 (08/02/14)
- [국제/북한] G7, 세계경제 하강직면 대응책 필요 (08/02/09)
- [국제/북한] 한국, ‘부의 분배 불공정’ 응답률 세계최고 (08/02/07)
- [국제/북한] 교황청, 피랍된 가톨릭 사제 석방 호소 (08/01/31)
- [국제/북한] 수하르토 前인도네시아 대통령 사망 (08/01/28)
- [국제/북한] 빈곤퇴치, 인류의 영원한 숙제인가? (08/01/26)
- [국제/북한] 멕시코, ‘여성전용 버스’도 등장 (08/01/25)
- [국제/북한] 빌 게이츠, ‘창조적 자본주의’ 주창 (08/01/25)
- [국제/북한] 미국 패션의 미래는 한국인? (08/01/06)
- [국제/북한] 한국, 1인당 카드소비액 세계5위 (08/01/02)
- [사회] '무이자송' 그만 부르면 안되겠니? (07/06/14)
- [사회] 황당한 "060 대출문자" 받아본 적 있나요? (07/05/10)
- [영남권(경남,울산,부산)] 불법 대부업자 321명 검거 (07/03/30)
- [중부권(충남,충북,대전)] 경기 침체에 따른 사금융시장 활개 (06/01/12)

© 김상욱 대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Posted by no1tv